임원이 되기 위한 덕목 '성과창출'

[코리아리크루트] 직업 가치관이 변화하고 있다. 과거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임원을 꿈꾸며 준비했다면, 오늘날 직장인들은 이와 같은 준비를 점차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에서의 성공보다 개인적인 삶의 영위를 더 중요시하고 워라밸 문화가 확대된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직준비의 시작, 잡코리아(www.jobkorea.co.kr, 대표이사 윤병준)가 남녀직장인 1,0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현재 임원(경영진)이 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직장인은 34.7%로 10명 중 4명에도 못 미쳤다. 이는 3년전(2017년_직장인 1,009명 대상) 조사 당시 41.1% 보다 6.4%P 낮아졌다.
임원 준비를 하고 있는 경우는 남성직장인이 39.7%로 여성직장인 28.0%에 비해 11.8%P나 높았으며, 근무하고 있는 기업형태별로는 △대기업 근무 직장인이 임원 준비를 하고 있는 비율이 44.3%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외국계기업 38.1% △공기업 및 공공기관 34.4% △중소기업 30.6%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별로 살펴봤을때 △마케팅직 분야 직장인들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전략/기획직 45.9% △영업직 43.2% △재무/회계직 37.0% △연구개발직 35.9% △생산/기술직 33.5% △IT직 33.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임원(경영진)이 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하는 시기로는 직장경력 7년차 정도가 되는 시기부터 준비한다는 응답이 33.4%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입사하는 순간부터 임원 준비를 한다는 응답이 22.1%로 이어졌다.
준비하고 있는 항목(*복수응답)으로는 △인맥관리(43.0%)와 △직무분야 전문지식 강화(40.1%)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글로벌 능력 향상(37.0%) △주요 프로젝트 진행 등 다양한 직무성과 쌓기(28.4%) △MBA 이수(17.5%) △대학원 진학(16.1%)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번 잡코리아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들이 추천하는 임원이 되기 위해 가장 필요한 항목으로는 △실적창출을 통한 기업이윤 극대화(19.2%)와 △업무에 대한 전문지식(17.6%)이 1,2위를 차지했으며, 2017년 조사 당시 임원이 갖춰야 할 항목 1위를 차지했던 △리더십 및 카리스마(15.0%)는 3위로 밀려났다. 이 외에 △전략적 사고 및 미래 예측력(11.0%) △대인관계 능력(9.4%) △탁월한 기획력(9.1%) 등의 순이었다.
임원이 되었을 때 가장 누리고 싶은 혜택으로는 △특별 성과금이 46.4%로 압도적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개인 사무공간(24.1%)이 뒤를 이었다. 이 외에 △차량 지원(6.8%) △개인 비서(5.6%) △스톡옵션 행사권(5.4%) △임원들을 위한 특별 연수(4.4%) △골프회원권 등 복지혜택(3.4%) △인사권(2.9%)%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한편, 이들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현 직장에서 이루고 싶은 최고의 목적이 무엇인지 물은 결과 △직급 상관없이 정년까지 보장받는 안정적인 직장생활(24.4%)이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업무 경력을 쌓아 독립(창업)할 수 있는 기반을 닦는 것(23.9%) △인센티브 등 고액 연봉자가 되는 것(21.6%) △자신의 직무분야에서 최고의 전문가가 되는 것(21.3%)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