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건강보험 ‘공황장애(F41.0)’진료인원 159,428명
최근 5년 ‘공황장애(F41.0)’환자 연평균 14.3% 증가
최근 5년 공황장애(F41.0) ’환자 진료비 연평균 18.6% 증가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최근 5년간 연평균 13.8% 증가
연평균 남성 13.5%, 여성 1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0대가 24.5%로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공황장애(F41.0)’진료인원은 남녀 모두 40대에서 가장 많고, 30~50대가 전체 환자의 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코리아리크루트]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4년~2018년간 ‘공황장애(F41.0)’ 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5년간 연평균 14.3% 증가했다.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의 1.2배 많았고, 남녀모두 40대(2018년 기준 38,825명, 24.4%)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공황장애(F41.0)’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2014년 9만 3천명에서 2018년 15만 9천명으로 2014년 대비 70.5%(연평균 14.3%) 증가하였다.
남성은 2014년 4만 3천여 명에서 2018년 7만 3천명으로 연평균 13.8%, 여성은 4만 9천여 명에서 8만 6천명으로 연평균 14.6% 증가하였다.
2018년 ‘공황장애(F41.0)’질환으로 진료받은 여성은 전체 환자의 54%, 남성은 46%로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많았다.
2018년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40대 환자(38,825명, 24.4%)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50대(33,057명, 20.7%), 30대(29,530명, 18.5%) 순으로 나타나 전체 환자(15만9천명)의 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황장애 질환의 진료인원은 30~40대가 가장 많으나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20대가 24.5%, 10대이하가 18.1%으로 높게 나타나 젊은층에서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황장애(F41.0)’질환의 진료인원이 30~50대 중장년층에서 가장 많은 원인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공황장애의 호발연령은 젊은 성인으로, 어떤 나이에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의 위험요인으로는 사회경제적 자원의 결핍, 흡연, 알코올 문제, 최근의 이혼이나 이별과 같은 스트레스 사건 등이 있는데, 이러한 생활사의 기복이 가장 많은 연령대에 호발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겠습니다.”라고 설명하였다.
20대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높은 원인에 대하여 “또한, 최근 학업, 취업 등 사회 초년기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20대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공황장애 발병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20대에서 우울증 발병이 증가하고 있는 현상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공황장애와 우울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며, 공황장애에서 주요우울증이 약 25%에서 공존합니다.”라고 설명하였다.
2018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312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3.8% 증가하였으며, 남성은 287명, 여성은 338명으로 나타났다.
2018년 적용인구 10만 명당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40대가 460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396명, 50대 390명 순으로 많았다. ‘공황장애(F41.0)’ 환자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4년 312억 원에서 2018년 616억 원으로 304억 원이 늘어 연평균 18.6% 증가하였다.
입원진료비는 2014년 16억 원에서 2018년 23억 원으로 연평균 9.5% 증가하였고, 외래는 같은 기간 242억 원에서 497억 원으로 연평균 19.7%, 약국은 54억 원에서 96억 원으로 연평균 15.5%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