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트경영기술연구원 변정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은 초연결성, 초지능성, 파괴적 혁신을 가지고 있으므로 융합형 창의 인재가 필요하다. 기술의 변화, 생각의 변화, 행동의 변화, 관계의 변화, 사람과 조직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융합형 창의 인재 양성을 위해 인지능력, 시스템 스킬, 복잡문제 해결력, 컨텐츠 스킬, 프로세스 스킬, 사회적 스킬, 자원관리 스킬, 기술 스킬 등의 새로운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산업 협력이 필요할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8대 유망 직종, 즉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에너지, 4바이오제약, VR/AR, 드론 제작 관리 운영, 핀테크, 스마트폰, 스마트 카 직종을 염두에 두고 개인은 자신의 커리어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4차산업혁명시대에 예측가능한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특징에 맞춘 일자리 창출이 요구된다.

첫째, 고객 몸과 라이프 스타일에 맞춘 O2O 분야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공유경제 시장은 경제침체로 더욱 확대될 것이다.
셋째, 노동, 유연성 속에서 공유경제 커머스 증가할 것이다.
넷째, 블록체인 채택 확대로 보안 분야 일자리는 급증할 것이다.
다섯째, 사물 인터넷은 스마트폰, 스마트카, 스마트 시티 등에서 일자리가 증가할 것이다.
여섯째, 교육테크 산업이 본격화 할 것이다.
일곱째, AR, MR, AR에서 창의적 아이템들이 나오고 있다.
여덟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전자옷감 등이 중요해지고 있다.
아홉째, 협업로봇이 일자리 완충단계를 만든다.
POST 코로나 이후 전국 대학교 진로교육 방향.
비대면 심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수정
언택트 교육으로 역량강화 – 온라인 직무교육
빅데이터를 활용한 진로 방향 탐색
NCS 직업교육으로 정당한 직업 매칭
중장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취창업 교육에 대한 발전 방향.
은퇴 후 남은 여생을 활발히 경제활동 할 수 있도록 그동안 쌓아온 경험과 경력을 살릴 수 있는 일자리 매칭이 필요하고 중장년이 가지고 있는 특성들을 활용한 취창업 분야로의 진출을 위해 적합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지식을 재점검해 볼 수 있는 은퇴 후 교육을 은퇴 이전에 단계별로 지원하여 본인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할 수 있다는 긍정적 자신감과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다. 지역적으로 한계가 있는 지방의 중장년들을 위해 온라인 서비스 확대 및 온라인 서비스 이용에 대한 홍보도 필요하며 온라인 서비스만으로 충족되지 않는 교육은 찾아가는 교육 서비스로 제공되면 더욱 효율적일 것이다.
청주 중장년 기술창업센터에서는 실전창업교육을 수요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추어 초기창업과정, 창업도약과정, 창업성장과정으로 3회 진행하여 실전에 응용가능하며 수요자 요구에 맞추는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둘째는 비대면 창업리그를 MBC충북과 함께 진행하여 비대면의 필요성에 대두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부응하면서도, 창업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예비 창업자 및 초기창업자를 발굴하여 그들의 창업준비 및 도약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셋째, 유관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중장년(예비)창업자가 창업생태계 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해 갈 수 있도록 멘토링 및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섯째, 수요자 중심의 고객 서비스 마인드로 무장된 전직원의 근무자세로 수요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중장년 기술창업센터에 오셔서 필요한 도움 받으시기 바랍니다.